닫기

로그인

콘텐츠 바로가기

ISSN 2288-7393 (Print) / ISSN 2713-8984 (Online)

부동산경영, Vol.20 (2019)
pp.285~317

- 지역특성이 빈집비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 -

김성용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부동산학박사)

김선형

(대진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초빙교수, 경제학박사)

광주광역시 빈집은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과 아파트가 가장 많고, 다세대주택의 증가 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동구에 빈집이 가장 많은 반면, 남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공간자기상관분석결과, 북구와 광산구는 인접지역의 인구이동 등으로 인접지역 의 빈집비율이 증가하는 LH유형으로 고령인구의 증가 및 지역 내 경제활동인구감소가 빈 집증가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특성을 이용한 골목상권개발 등의 프로그램을 청·중장년 계층을 대상으로 창 업기회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주택공급에 있어서도 무분별한 도시개발 및 공동주택 공급보 다 수요자 니즈에 맞는 기존의 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의 보수를 통한 주택공급이 빈집을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할 지자체에서는 정확한 입지분석과 향후 지자체의 개발 계획 및 방향에 맞는 빈집관리방안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n the impac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Vacant Rate Changes - For Gwangju Meteroplitan city -

Kim, Sung-yong

Kim, Sun-hyu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number of vacant houses by house type was highest in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s. By region, Dong-gu had the most vacant houses and Nam-gu had the least. As a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Buk-gu and Gwangsan-gu were found to be LH(Low-High) type with increasing vacancy rate in neighboring areas due to population movement of neighboring areas. This is due to an increase in the aging population and a decrease i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the region. Program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lley commercial areas using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ncreased for young and middle-aged people to increase their business opportunities and jobs. Further Housing should also take advantage of the vacant houses to renovate an existing detached houses and multiplex housing to suit the consumer's needs. Accurate location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and systematic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local government development plans and directions are required.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