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콘텐츠 바로가기

ISSN 2288-7393 (Print) / ISSN 2713-8984 (Online)

부동산경영, Vol.19 (2019)
pp.7~27

- 도시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지표적용에 관한 연구 -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중심으로 - -

한상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 박사수료)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교수)

본 연구에서는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바탕으로 개발된 도시지속 가능성 및 회복력 평가지표를 국내 7대 대도시에 적용하여 도시별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수준을 비교평가 하였다. 대중교통수송 분담률, 경제활동 참가율, 주위 미세먼지 수준 등 15개 평가 항목들을 종합하여 도시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수준을 평가한 결과, 7개 도시의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수준은 평균 58.37점으로 나타났다. 도시별로는 울산시가 70.48점으 로 종합 점수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대전(60.95점), 대구(60.95점), 인천(57.14점), 광주(56.19점), 서울(55.24점), 부산 (47.62점) 순이었다. 도시마다 평가항목별로 우수하거나 취약한 부분이 달랐으며, 이는 도시별 지역적 특성, 기능적 역량, 계획수립체계 등의 차이 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도시별로 취약한 부분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방향과 목표 를 설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실천전략을 이행한다면 도시 지속가능성 및 회복력 수준이 향 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ex for Urban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 Focused on the Goal 11 of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

Han, Sang-Mi

Lee, Myeong-Hun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ndex for urban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developed on the basis of UN SDGs Objective 11, was applied to seven large cities(Seoul, Busan, Incheon, Daegu, Gwangju, Daejeon, and Ulsan) in Korea. Th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levels of the cities were evaluated by integrating 15 evaluation items(public transport sharing rat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surrounding particulate matter level, etc.). As a result, the averag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level of the seven cities was 58.37. Ulsan showed the best overall score of 70.48, followed by Daejeon(60.95), Daegu(60.95), Incheon(57.14), Gwangju(56.19), Seoul(55.24), and Busan(47.62). In each c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eas of excellence or weakness, due to the distinc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unctional capacity, and planning system. It is expected that urban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level will be enhanced if concrete directions and targets are set focusing on vulnerable areas of each city and practical strategies are implemented.

다운로드 리스트